자료구조/알고리즘 - 자료구조 기초 2(Graph, Tree Search Algorithm)
·
SE Bootcamp 내용 정리
Graph, Tree Search Algorithm Tree traversal(트리 순회) 특정 목적을 위해 트리의 모든 노드를 “한번씩” 방문하는 것 ex) 1부터 10까지의 정수로 이루어진 트리에서 5라는 숫자를 찾기 위해 모든 노드를 방문 → 트리 순회 트리 구조는 계층적 구조를 가지므로 모든 노드를 순회하는 방법도 3가지가 존재 (단, 노드 조회하는 순서는 항상 왼쪽→ 오른쪽 방향) 전위 순회(Preorder) 루트에서 시작해서 왼쪽의 노드들을 순차적으로 둘러본 후, 왼쪽의 노드 탐색이 끝나면 오른쪽 노드를 탐색 → 왼쪽으로 가면서 위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왼쪽의 노드를 탐색함 중위 순회(Inorder) 루트를 가운데에 두고 순회함. 제일 왼쪽 끝에 있는 노드부터 순회하기 시작하여, 루트를 기준으로 ..
자료구조/알고리즘 - 자료구조 기초(Stack, Queue, Graph, Tree, BST)
·
SE Bootcamp 내용 정리
자료구조 학습 목표 * 자료구조란? * Stack, Queue, Tree, Graph 자료 구조 - 알고리즘 문제에서 Stack, Queue 자료 구조를 배열로 흉내내기 - 각 자료구조의 개념과 구조 파악 - 알고리즘 문제에 맞는 자료구조 적용 * 트리 및 그래프의 탐색 기법 이해 - Binary Search Tree - BFS 와 DFS의 개념과 알고리즘 적용 * 자료 구조를 활용한 알고리즘 문제 접근 자료 구조 소개 자료 구조란? 여러 데이터들의 묶음을 저장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정의한 것 → 필요에 따라 데이터의 특징을 잘 파악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저장해 둬야 한다 →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다룰 수 있는 여러 방법들을 모아 “자료 구조” 라 한다 가장 많이 쓰이는 자료 구조 → Stack, Queu..